무릎관절에는 주로 앞뒤십자인대의 파열, 무릎뼈 탈구, 관절반달 손상, 박리뼈연골염, 관절염 및 골관절염 등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 강의를 학습하고 난 뒤에는 무릎관절의 주요 굽힘근과 폄근의 종류를 알고 그 위치를 찾을 수 있으며, 무릎관절 인대의 종류, 그리고 기능적으로 가장 중요한 앞십자, 뒤십자인대의 위치 및 기능을 이해하고 앞십자, 뒤십자인대에 접근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강의요약]
1. 강의 목표
2. 임상에서의 고려사항
3. 무릎관절의 운동과 인대
4. 넙다리 무릎관절
5. 넙다리 정강관절
6. 해부 절차
7. 해부 시연 강의


- 대한수의학회 부편집위원장
- 한국수의교육학회 실행위원
- 충북대학교 수의과대학 연구교수
- Howard Hughes Medical Institute 연구원
- 국립수의과학검역원 연구사
- Texas A&M University 박사
-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학사
이론강의 | 00:00:05 |
Learning Objectives | 00:00:08 |
Clinical Consideration | 00:00:30 |
Stifle Joint Movement | 00:00:42 |
Ligaments of Stifle Joint | 00:01:00 |
Femoropatellar Joint | 00:01:23 |
Femorotibial Joint | 00:01:43 |
Dissection Procedures | 00:02:01 |
해부시연 | 00:02:55 |
Patellar ligament, Patella | 00:03:02 |
Fascia lata | 00:03:49 |
Tibial tuberosity | 00:05:01 |
Tendon of long digital extensor m., Lateral collateral ligament | 00:05:27 |
Medial collateral ligament | 00:05:56 |
Medial femoropatellar ligament | 00:06:19 |
Patella | 00:06:53 |
Intercondylar fossa | 00:07:15 |
Branch of popliteal a. | 00:07:29 |
Caudal cruciate ligament, Cranial cruciate ligament | 00:07:55 |
Medial meniscus, Lateral meniscus | 00:08:20 |
끝 | 00:08:4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