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동물 수의마취 - 위험관리
베터플릭스는 크롬 브라우저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강의소개
위험관리(Risk Management)
강의 미리보기
이 강의를 통해 소동물 마취에 있어서 위험관리를 어떻게 하는지에 대한 부분을 수의사의 정신적 부담, 수술에서의 마취, 심폐소생으로 나누어서 학습합니다.
1. 수의사의 정신적 부담
임상수의사는 스트레스를 많이 받게 되는 직업입니다. 마취를 시킨 동물이 자신의 실수로 사망하면 어쩌나 하는 정신적 부담 역시 스트레스에 큰 지분을 갖고 있습니다. 이 강의는 참석하신 수의사 분들이 실수없이 능숙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자신만의 마취 프로토콜을 정립하는 것을 돕고 정신적 부담을 줄일 수 있게 할 것입니다.
2. 수술에서의 마취
마취란 단순히 말하자면 의식, 감각 운동을 차단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수술에서의 마취는 단순하지 않고, 이를 위해 알아야 할 것이 많습니다. 이 강의는 참석하신 수의사 분들께 마취를 위해 알아야 할 전반적인 내용과 마취 동의서에 대해 알려드릴 것입니다.
3. 심폐소생
모든 환자에게나 안전한 마취제나 마취절차는 없습니다. 적절한 마취제를 선택하고 적절한 마취절차를 행했다고 하더라도 환자의 심폐기능이 멈추는 상황은 있을 수 있습니다. 이 강의는 심폐소생을 위해 알아야 할 내용들을 담고 있어 참석하신 수의사 분들의 위기 대처 능력을 향상시킬 것입니다.
[강의요약]
1. 오리엔테이션
2. 수의사의 부담
3. 수술에서의 마취
4. 동의서 및 안내문
5. 심폐소생
*이 영상은 2020 수의마취 세미나 1회 강의를 촬영한 영상입니다. 수술영상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강의자/집도의

손원균 임상교수
서울대학교 동물병원 마취통증의학과 임상교수
- 서울대학교 수의외과 조교
- 서울대학교 동물병원 마취통증의학과 전임 수의사
- 서울대학교 동물병원 수련 수의사 과정
-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박사 졸업
-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학부 졸업
교육과정
1강 수의사의 정신적 부담 | 00:00:11 |
마취에 대한 부담 | 00:02:44 |
마취에 의한 사망률 | 00:06:07 |
마취 회복 후 통증 관리, 모니터링의 중요성 | 00:09:31 |
수의사의 정신적 부담 | 00:16:43 |
마취 프로토콜 자가점검 | 00:18:28 |
DZ 또는 DK 조합의 주의사항 | 00:22:24 |
신체 상태 분류의 유의사항 | 00:41:02 |
개의 주사마취 프로토콜 | 00:44:49 |
합제 투여의 주의사항 | 00:46:56 |
고양이 중성화수술 시 마취 프로토콜 | 00:53:21 |
환자 상태별 마취 프로토콜 | 00:59:16 |
흡입마취의 장점 | 01:01:24 |
마취 사고 예방을 위한 노력 | 01:02:28 |
2강 수술에서의 마취 | 01:06:08 |
역사 | 01:06:54 |
진통 | 01:11:29 |
마취의 3요소 | 01:13:42 |
주요 생명 유지 기관과 마취 | 01:14:50 |
전신마취제 | 01:18:25 |
흡입마취제의 특성 | 01:20:37 |
MAC | 01:26:26 |
균형마취 | 01:30:16 |
마취동의서 | 01:35:20 |
진정동의서, 마약류 안내문 | 01:40:30 |
동의서를 받는 과정 | 01:41:53 |
3강 심폐소생 | 01:56:56 |
심폐소생 약물의 준비 | 01:58:06 |
심폐정지 관련 약물 | 02:00:54 |
부정맥 관련 약물, 제세동기 | 02:06:38 |
길항제 | 02:09:18 |
RECOVER | 02:11:07 |
CPR 성공률 | 02:13:18 |
CPR 지속시간 | 02:15:40 |
ETCO2 | 02:18:35 |
자발 순환 회복 후 사용 약물 | 02:20:38 |
약물 투여 루트 | 02:22:52 |
강의 마무리 | 02:28:29 |
질의응답 | 02:30:57 |
끝 | 02:52:24 |